일상 속에서 무심코 지나치는 100원 동전, 알고 보면 특정 연도에 발행된 동전은 수집가들 사이에서 고가에 거래되기도 합니다. 단순한 화폐 이상의 가치를 지닌 100원 희귀동전, 그 중에서도 특히 주목해야 할 발행 연도와 가격, 확인 방법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왜 100원 동전이 희귀해질까?
희귀동전은 발행량이 적거나, 제조상의 오류, 혹은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는 경우 수집 가치가 높아집니다. 특히 한국의 경우 특정 연도에는 100원 동전의 생산량이 현저히 낮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희귀화되었고, 이런 이유로 높은 프리미엄이 붙는 것입니다.
희귀한 100원 동전 발행 연도
다음은 수집가들 사이에서 높은 가치를 인정받는 대표적인 100원 희귀동전의 연도입니다.
발행 연도 | 특징 및 희소성 | 거래 시세 (2025년 기준) |
---|---|---|
1970년 | 초창기 디자인, 발행량 적음 | 10만 원~20만 원 |
1974년 | 유통 수량 희소 | 7만 원~15만 원 |
1982년 | 유통 희귀, 일부 민트상태 고가 | 3만 원~10만 원 |
1983년 | 100원 동전 중 최저 발행량 | 30만 원 이상 |
1998년 | 외환위기 여파로 발행량 감소 | 1만 원~3만 원 |
특히 1983년산 100원 동전은 발행량이 극도로 적어, ‘전설의 100원 동전’이라 불리며 30만 원 이상의 거래가 이뤄지기도 합니다.
내 지갑 속 100원 동전, 희귀한지 확인하려면?
희귀동전 여부를 확인하려면 다음 사항을 꼼꼼히 살펴보세요.
- 연도 확인: 동전 앞면 하단에 새겨진 발행 연도를 먼저 체크합니다.
- 보존 상태: 잔기스 없이 광택이 살아 있는 민트급 상태일수록 가치가 올라갑니다.
- 수집가 사이트 조회: 수집뱅크코리아나 화동양행같은 사이트에서 최근 거래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전문 감정 의뢰: 상태에 따라 가격이 큰 폭으로 달라지므로, 감정사를 통한 정확한 감정을 추천합니다.
고가에 팔 수 있는 방법은?
희귀 100원 동전을 소장하고 있다면 다음 경로를 통해 판매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 중고 거래 플랫폼: 번개장터, 당근마켓 등에서 희귀화폐를 찾는 수요가 존재합니다.
- 화폐수집 전문 카페: 네이버 화폐수집 동호회나 수집 전문 커뮤니티에서 더 정확한 시세 확인 및 직거래가 가능합니다.
- 온라인 경매 플랫폼: 옥션코리아와 같은 화폐 경매 사이트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집에 굴러다니는 100원 동전 하나가 수만 원의 가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1983년, 1970년 등 일부 연도에 발행된 100원 동전은 상태가 좋다면 그 자체로 훌륭한 재테크 수단이 될 수 있죠. 손 안의 작은 동전, 지금 한 번 확인해보시는 건 어떨까요?